화성시 도시계획의 배경 및 목적


계획의 배경

사회적 여건변화에 체계적 대응을 위한 도시기본계획 수립 필요성 대두 ⋅화성시는 201년 도·농복합시 승격에 따라 일원화된 계획기법을 통한 복합시로서의미래상을 정립하여 도시발전을 위한 기본방향을 제시하고자 2021년 화성 도시기본계획을수립하였으며 최초수립 후 급격하게 변화하는 도시여건(제조산업 부문의 비약적 성장, 대규모 신도시
건설에 따른 대량의 인구유입 등)에 부합하고 미래지향적인 도시조성을 위하여 4회의
변경을 과정을 통해 2020년 화성 도시기본계획을 보완하였음. 하지만 2015년 마지막 일부변경이 승인 된 이후, 현재 시점에서 목표년도 조정을 통해 합리적인 계획인구를 추정하고 적절한 도시지표를 적용하여 경기도 내 자치경쟁력 1위
에 빛나는 도시위상을 반영하고 발전시켜야 하는 차원에서 도시기본계획 수립의 필요성
이 대두됨

인구 10만을 넘어 경기도 대표 정주도시로의 확고한 위상 재정립 ⋅동탄신도시 건설을 기점으로 건설 부문의 급속한 성장을 이룬 화성시는 2020년 화성도시기본계획 상 목표인구 10만을 향해 순조로운 성장을 거듭하며 수도권 남서부지역
에서 대표적인 중심도시로 성장함이에 인구 10만 도시를 넘어 정주환경 조성과 삶의 질 향상을 통한 도시위상을 재정립
함으로써 정주기반을 공고히 다지고, 지역경쟁력 확보를 위한 자족도시로의 발전전략이
필요함

Share on facebook
Facebook
Share on twitter
Twitter
Call Now Button상담원연결